단순한 BFS 문제였다.처음에 생각을 잘못한 부분은 → NxN 에서 가장 큰 마른모는 N일때 발생한다고 생각했는데,N+1 일때 발생한다는 것이 key 였다. (그것때문에 49/50 개 pass 였다. 😿) 실제로 예시의 사진을 보면, 3x3 배열이 쏙 들어가는건 마름모가 k=4 일때임을 알 수 있다!앞으로 이런 디테일에 더 주의해서 문제를 풀어야 겠다.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dx = [-1, 1, 0, 0] dy = [0, 0, -1, 1] # BFS 함수를 입력 def BFS(i, j, k): global house q = deque() q.append((i, j)) cnt = 1 if homes[i][j] == 1: house += 1 while cnt < k: for ..
최종코드는 맨 아래에 있습니다! 내 코드import sys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di = [-1, 1, 0, 0] dj = [0, 0, -1, 1] N = int(sys.stdin.readline().rstrip()) # 행, 열의 개수를 나타내는 n arr = [list(map(int, sys.stdin.readline().split())) for _ in range(N)] # arr에 있는 값중에 최소, 최대 값을 찾아서 brute-force를 진행한다. min_num = min(min(arr)) max_num = max(max(arr)) numbers = [i for i in range(min_num, max_num+1)] max_V = 1 def rain(numbe..
문제N×N 크기의 공간에 물고기 M마리와 아기 상어 1마리가 있다. 공간은 1×1 크기의 정사각형 칸으로 나누어져 있다. 한 칸에는 물고기가 최대 1마리 존재한다.아기 상어와 물고기는 모두 크기를 가지고 있고, 이 크기는 자연수이다. 가장 처음에 아기 상어의 크기는 2이고, 아기 상어는 1초에 상하좌우로 인접한 한 칸씩 이동한다.아기 상어는 자신의 크기보다 큰 물고기가 있는 칸은 지나갈 수 없고, 나머지 칸은 모두 지나갈 수 있다. 아기 상어는 자신의 크기보다 작은 물고기만 먹을 수 있다. 따라서, 크기가 같은 물고기는 먹을 수 없지만, 그 물고기가 있는 칸은 지나갈 수 있다.아기 상어가 어디로 이동할지 결정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.더 이상 먹을 수 있는 물고기가 공간에 없다면 아기 상어는 엄마 상어에게..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JS
- react
- 프로그래밍
- RDB
- 프론트엔드
- React drei
- 프레임워크
- three.js
- 싸피
- django
- 파이썬
- 사피
- 완전탐색
- 개발자
- 알고리즘
- 코딩
- CSS
- BOJ
- Vue
- 쟝고
- 백준
- JavaScript
- SSAFY
- 비전공자
- Algorithm
- frontend
- 리액트
- APS
- React Three Fiber
- Python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 31 |